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

사육사의 프레리독 키우기, 프레리독 수명 소개 1. 프레리독, 프레리도그 너는 누구니? 프레리독(Prairie dog)은 설치목 다람쥐과 땅다람쥐아과 프레리독속에 속하는 동물이다. 종류는 크게 멕시코 프레리독, 검은 꼬리 프레리독, 유타 프레리독, 거니슨 프레리독, 흰 꼬리 프레리독 5종이 있다. 그 중 멕시코와 유타 프레리독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주로 북아메리카, 캐나다에 서식한다. 이름에 독(dog)이 붙은 이유는 프레리독이 짖을 때 내는 소리가 '개'처럼 '왕!왕!' 하고 울어서다. 보통 야생에서 평균 수명은 약 7년 정도 산다고 하며, 가정 또는 동물원에서는 약 10년을 산다고 한다. 성체가 되면 약 30~40cm정도 크고, 몸무게는 약 1kg 정도 된다. 주행성으로 야생에서 주식으로 야채 또는 풀을 먹으며 산다. 부족한 단백질.. 2023. 2. 18.
고슴도치 키우기, 사육사가 알려드려요. 1. 고슴도치는? 척삭동물문에 속하는 포유강 고슴도치는 잡식성이다. 서식지는 주로 산림지대에서 서식한다. 중국, 러시아, 한국 등에 서식한다. 네발은 짧고, 몸통은 동글하다. 등과 옆구리 털이 가시와 같은 형태로 변화했다. 크기는 20~30cm, 꼬리의 길이는 3~4cm로 굉장히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다. 체중은 300~700g 정도 나간다. 고슴도치는 야행성으로 지렁이, 딱정벌레 등의 곤충을 주식으로 한다. 곤충 뿐만 아니라, 과일, 야채 등도 즐겨 먹는다. 심지어 왕사마귀, 장수말벌, 사슴벌레, 장수풍뎅이 마저 씹어 먹는다. 곤충 말고도 양서류, 버섯 등도 먹는다. 야생에서는 뱀이 고슴도치를 먹으려다가 오히려 가시 때문에 포기하거나, 되려 고슴도치에게 먹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번식기는 4~6월 사이.. 2023. 2. 17.
미어캣의 특징과 미어캣의 수명, 먹이를 알아보자 1. 미어캣 소개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고양이아목 몽구스과에 속하는 육식성 포유류이다. 주로 남아프리카에 살고있다. 다 자란 미어캣의 몸길이는 20cm 정도 되는 꼬리를 포함해 약 5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0.5kg~2.5kg 이다. 미어캣의 수명은 약 5~15년 정도 된다. (수명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야생에서 천적도 많고 개체간 다툼, 기생충에 의한 폐사 등 자연에서는 평균 수명이 낮다. 하지만, 사육자 또는 양육자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 개체는 10년은 거뜬히 넘긴다.) 몸과 꼬리가 가늘고 길며, 머리는 정면에서 보면 둥글고 코는 뾰족하다. 눈은 크지 않고 검은 테두리가 있으며 양 눈 사이가 좁다. 친척인 몽구스의 발가락은 5개다. 미어캣의 발가락은 모두 4개다. 앞발에는 구부러진.. 2023. 2. 16.
카피바라, 최고의 친화력과 가장 큰 설치류 1. 친화력 끝판왕, 카피바라 소개 쥐목 천축서과 카피바라아과 카피바라속에 속하는 포유류다. '캐피바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브라질과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등의 남미 국가에 서식하며 이름의 유래는 '가느다란 잎을 먹는 동물' 또는 '초원의 지배자'라는 뜻이다. 현재 존재하는 설취류 중 가장 큰 설치류로서, 몸길이가 1~1.5m에 평균 체중이 35~60kg이상 나간다. 최대 몸무게는 90kg에 달했다고 할 정도로 덩치가 큰 동물이다. 그만큼 먹는 양도 많고 대변의 양도 많다. 꼬리는 없고 앞다리는 뒷다리 보다 짧다. 털은 길고 듬성듬성하게 있으며, 발가락은 뒷 발가락은 3개, 앞 발가락은 4개이다. 크기는 굉장히 큰 반면, 남미의 먹이 사슬 최하위에 위치하는 동물이다. 물가 주변에 살다가 주 천.. 2023. 2. 16.
카멜레온, 서식환경과 사육방법 소개 1. 서식환경 및 소개 카멜레온은 카멜레온속 약 70종, 브루케시아속 약 16종이 있으며 지중해 연안에 1종, 아시아에 3종이 살고 나머지는 사하라 사막 남쪽의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에 분포해서 서식한다. 주로 정글 같은 열대 지방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사막에 서식한다. 몸 색깔을 자유롭게 바꾸고 긴 혀로 먹이를 잡아먹는 것이 카멜레온의 가장 큰 특징이다. 평균 몸길이는 약 20cm이며, 가장 큰 종은 '마다가스카르큰카멜레온'으로 약 60cm이고, 가장 작은 종은 '애기카멜레온'으로 3~4cm이다. 주로 나무 위에서 살며 번식을 할 때는 바닥으로 내려와 흙 속에 알을 낳는다. 다리는 같은 크기의 긴 다리와 나뭇가지에 매달릴 수 있는 강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 흔들거리는 곳을 이동할 때에는 꼬리로 안전한 .. 2023.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