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어캣 소개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고양이아목 몽구스과에 속하는 육식성 포유류이다.
주로 남아프리카에 살고있다. 다 자란 미어캣의 몸길이는 20cm 정도 되는 꼬리를 포함해 약 5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0.5kg~2.5kg 이다. 미어캣의 수명은 약 5~15년 정도 된다.
(수명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는 야생에서 천적도 많고 개체간 다툼, 기생충에 의한 폐사 등 자연에서는 평균 수명이 낮다. 하지만, 사육자 또는 양육자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란 개체는 10년은 거뜬히 넘긴다.)
몸과 꼬리가 가늘고 길며, 머리는 정면에서 보면 둥글고 코는 뾰족하다. 눈은 크지 않고 검은 테두리가 있으며 양 눈 사이가 좁다. 친척인 몽구스의 발가락은 5개다. 미어캣의 발가락은 모두 4개다. 앞발에는 구부러진 강한 발톱이 있어 굴을 파기에 알맞고 뒷다리는 짤막하다. 털은 매끄럽고 길며 보통 갈색과 베이지색을 가지고 있다. 등에는 검은 줄무늬가 있다. 얼굴은 하얗지만, 귀와 눈 주변, 꼬리 끝은 검은색을 띤다.
보통 20~30마리, 많게는 50마리가 모여서 집단생활을 하며, 여러 통로와 입구가 있는 굴 속에서 서식한다. 주행성 동물이라서 낮에는 굴에서 지내지 않으며, 사람처럼 두발로 서서 햇볕을 쬐는데, 그 모습이 굉장히 귀엽다. 두 발로 서 있는 행동은 천적으로부터 무리를 위해 경계한다. 즉, 보초를 서는 행동이기도 하다.
자손번식은 서열이 가장 높은 암컷만 가능하다. 새끼 암컷이 번식이 가능해지는 나이가 되면 서열을 지키기 위해 무리에서 쫓아내기도 한다. 무리에서 내보내고 난 뒤,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우두머리의 새끼를 키우는 유모로 쓰기 위해 다시 무리로 다시 불러들이기도 한다. 집단생활을 하는 만큼, 집단 내 유대감이 엄청나면서 살벌하다.
땅이 딱딱하고 자갈과 바위가 많은 건조한 개활지에서 생활한다.
먹이는 쥐와 같은 소형 포유류나 뱀, 곤충, 전갈, 거미 등을 즐겨 먹는다. 미어캣은 전갈이나 뱀, 거미의 독에 면역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미어캣은 땅을 파서 먹이를 찾는 습성 특성상 호기심이 굉장히 많다.
미어캣의 새끼들은 무리의 성체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흉내내면서 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배우고 성체들은 새끼에게 맹독전갈을 사냥하고 침을 빼내는 법을 가르쳐주기도 한다.
2. 사육은 어떻게?
미어캣은 멸종위기종이 아니여서 개인사육이 가능하다. 하지만, 개인이 사육하기 위해서는 야생 미어캣이 아닌 동물원에서 태어나서 인간의 손에 길러진 인공 포육된 미어캣을 입양해서 키워야 한다. 또한 미어캣은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이기에 단독 사육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다. 야생의 미어캣은 경계심도 강하고 공격성이 굉장히 강하다. 이빨도 굉장히 날카로워 물리게 되면,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 미어캣은 새끼일 때 핸들링과 서열 교육을 반드시 해줘야 한다. 서열이 정해지지 않은 채 성체가 된다면 서열을 고치기가 어렵고 공격성을 보이게 된다. 또한 중성화 수술을 하지 않는다면, 발정기가 되면 예민해져 순치가 잘 된 미어캣이여도 사람을 공격할 수 있다.
열대성 동물인 미어캣은 체지방이 적어 한국의 겨울을 보내기가 굉장히 힘들다. 겨울철엔 따뜻하게 열 조명이나 히터를 틀어줘야 하며, 몸을 숨길 수 있는 은신처도 필요하다. 호기심도 굉장히 많아서 물어 뜯거나 냄새를 맡을 수 있도록 행동풍부화 도구도 다양하게 제공해주는 것이 좋다. 주로 배변은 정해진 곳에 보는 편이다. 하지만 원하는 장소에 배변을 보도록 배변훈련은 힘든 편에 속한다. 그리고 배변의 냄새는 굉장히 지독한 편 이므로 청소를 잘 해줘야 한다.
사료는 고양이 사료와 개사료를 섞어주고 사과, 당근, 밀웜, 귀뚜라미 등 다양하게 균형이 잡힌 식단을 제공해야 한다.
간혹 맹금류의 소리를 틀어 야생성을 살려주거나 행동 풍부화를 해주기도 한다.
3. 미어캣 잡담
- 기르기가 쉬워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쥐를 잡는 구제용으로 종종 사육된다.
- 독에 대한 면역이 있다.
- 라이온킹의 '티몬' 역할의 캐릭터이다.
- 눈 주변에 검은색은 강한 햇빛으로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준다.
- 미어캣이 두발로 일어나는 이유는 무리를 지키기 위해 경계 또는 일광욕을 하기 위해서다.
- 미어캣 진료가 가능한 특수 동물병원은 많지 않다.
- 미어캣은 우두머리 암컷이 수컷보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2배 가까이 분비된다.
- 미어캣의 캣은 'cat'이 아니라 'kat'이다.
- 천적은 주로 맹금류와 자칼이지만 고양이과 동물들도 미어캣의 천적이다.
- 상황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낸다.
현직 사육사가 동물원 또는 다큐멘터리 채널에서 자주 보는 동물친구들에 대해 소개해드립니다.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아쿠아리움에서 자주 보는 물고기, 반려어로 사랑받는 물고기에 대한 글입니다!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동물에 관한 각종 정보와 사육 노하우를 알려드려요!
수초 기르기 가이드, 반려동물 인기순위, 물고기 사육 가이드 등등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Zo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파카, 귀여운 외모로 BTS 캐릭터 'RJ'가 되다. (0) | 2023.02.18 |
---|---|
사육사의 프레리독 키우기, 프레리독 수명 소개 (0) | 2023.02.18 |
고슴도치 키우기, 사육사가 알려드려요. (0) | 2023.02.17 |
카피바라, 최고의 친화력과 가장 큰 설치류 (0) | 2023.02.16 |
카멜레온, 서식환경과 사육방법 소개 (2) | 2023.02.16 |
댓글